자유게시판
TIP 게시판
스크린샷게시판
거래게시판
소설게시판
밀리터리게시판
랭킹
팬/클랜사이트
이벤트후기게시판
 
밀리터리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밀리터리게시판
항공 모함의 이착륙 방식.
5031
2018-08-14 오후 7:08:17
Aircraft catapult (항공모함 캐터펄트)란. Catapult Assisted Take Off But Arrested Recovery (약자 CATOBAR) 방식으로 함재기를 이륙시킬때 쓰는 사출장치입니다.

참고로 항공모함 은 함재기가 최고속도로 가속한다해도 활주로 길이가 매우 짧기 때문에 캐터펄트 없이는 거의 이륙이 불가능하기에 (스키점프대 방식 제외) 이장치를 사용해서 함재기의 이함을 가능하게 합니다.

캐터펄트 방식에는 총 6가지가 있습니다.

초기에 영국에서 개발한 증기 캐터펄트와 WW2 당시 자주쓰였던 유압식 캐터펄트 방식 (WW2당시에는 유압식이 주류였습니다.) 그리고 소수지만.. 로켓식 캐터펄트도 존재했습니다.(참고로 로켓식은 매우 마이너한 물건이라 아마 실험용으로 쓰였을거라 봅니다.)

참고로 증기 캐터펄트는 나중에 개량을 거쳐서 1950년대까지 잘굴려먹습니다.

참고로 이때 바로 화약(파우더)추진식 캐터펄트가 등장합니다. 초반엔 강력한 출력으로 인기몰이를 했지만..

기체에 과도한 스트레스를 준다한다고 말이 나오고. 부적합 판정을 받습니다.

그리고 전자기식과 스키점프대가 있습니다. (전자기식의 경우 현재 소수만 운용중이며. 원리는 간단합니다. 전기의 힘을 이용하는방식이죠. 현재 미국과 영국항모들만 소수운용중이며. 니미츠급과 퀸엘리자베스급이 이방식을 사용중입니다. 스키점프대의 경우.. 주로 아시아권의 항모와 구소련권의 항모들이 자주이용합니다. 참고로 캐터펄트도움없이 발진하며. 이착륙방식이 다릅니다.)

참고로 항모의 이착륙 방식은 세가지가 존재합니다.

Catapult Assisted Take Off But Arrested Recovery (약자 CATOBAR)
short take off but arrested recovery (약자 STOBAR)
short take off and vertical landing (약자 STOVL)

CATOBAR의경우. 일단 함재기 캐터펄드의 도움을 받아 이륙을 합니다. 그리고 어레스팅 기어를 이용해서 착륙을 합니다.

주로 미국 항모들의 전유물입니다.

STOBAR의경우에는 일단 캐터펄트의 도움이 필요없습니다. 대신 다른게 필요하죠. 바로 제트 화염 반사판입니다. 반사판을 올리고
스키점프대를 이용해서 단거리 이륙을 합니다. 그다음에 어레스팅 기어를 이용해서 착륙을 하죠. 단. 이방식은 사고율이 높습니다. 그만큼 비행기 조종수의 운용실력이 좋지못하면 살지도 못한다는거죠.

주로 러시아.중국 같은 아시아권 항모들의 전유물입니다.

STOVL 의경우에는 나라마다 다른운용법이 있으나. 대부분의 STOVL 운용국의 경우 캐터펄트도. 어레스팅 기어도 없기때문에..

이착륙시 전용비행기를 씁니다. (예를 들어 F-35B나 호커 시들리 해리어같은거요.) 그리고 스키점프대를 사용합니다. 즉. 이륙시에는 단거리이륙을 하며. 착륙시에는 수직착륙을 한다는거죠. 마치 헬기처럼요.

대부분 유럽의 산물입니다만.. 프랑스의경우 미국의 캐터펄트를 수입해서.. 현재 운용중인 핵추친 항모인 샤를드골호에 달았습니다만.. 안전성문제덕분에 차기에서는 영국같은 디자인에.. (???) 디젤추진으로 다시 바꾸기로 했다고 합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서 개발중인 스마트 원자로의 열출력이랑 샤를드골 함의 원자력 열출력이랑 거의 출력이 비슷합니다.

샤를 드골 함 원자력 열 출력 : 300MWt - 소형일체형.

스마트 원자로 열 출력 : 330MWt - 소형 일체형.

참고로 이정도의 출력이라면..

핵추진 미사일 순양함정돈 만들수있습니다. 물론 배수량/ 출력도 만톤단위로 올려야됩니다.

오래전에 80~90년대에 우리나라에 키에프급 항공모함이 고철로 들어온적이 있습니다.

2번함 민스크와 3번함 노보로시스크함인데. 2번함의경우에는 중국에팔려가 해상관광 테마파크 플랫폼으로 조성됬다고 하며..

3번함의경우.. 우리나라에서 고철신세가 되었지요.

참고로 1번함 키예프급의경우도 중국에 팔려갔습니다. 그리고 텐진에서 같은 해상관광 테마파크 플랫폼 신세가 됬다고 합니다만..

제생각은 아마..

"항모운용을 위한 수집기술이 아니였나..

이렇게 생각하고있습니다.

나중에 결국 현실이 되서 쿠즈네초프2번함이였던 바랴그함이 랴오닝함이라는 훈련함겸 관제함이 되고말죠.

원래 고철이란게 어떤사람들한테는 그냥 고철일지몰라도,,

어떤사람들한테는 보물이 될수도있는데요.

그게 바로 이거인거같습니다.

이상입니다.




























211.237.***.238
 
아이디
2018-10-15 오전 12:39:42 | 220.81.***.13
1. 퀸엘리자베스급은 스키점프대 방식으로 F35를 이륙시킵니다. 그리고 니미츠급은 68번함 니미츠부터 77번함 조지 h.w부시호까지 전부 증기식 케터펄트를 사용하고, CVN78 제럴드 포드부터 전자식 케터펄트를 사용합니다.그리고 2차대전의 증기식 케터펄트는 영국이 아니라 미국과 독일(다만 운용방식이 비효율적)만이 사용했습니다. 영국도 화약식을 사용했죠.

2. 제트화염반사판은 스키점프뿐만 아니라 케터펄트에서도 사용합니다

3. 어레스팅와이어에 걸리지 못하면 다시 날아오를 수 있도록 항공모함은 설계되있습니다. 유튜브에서도 함재기가 착륙에 실패해 다시 날아올라 재착륙을 시도하는 영상이 많죠. 그리고 만약 둘 다 안되면 데이비스 베리어라는 장비를 이용해 강제착함을 하게 합니다.

4. 노보로시스크랑 민스크는 우리나라 영유통에 의해 들어왔을 때부터 항모의 가치는 없었습니다.
중요한 기술들을 다 뺀 그냥 고철상대로 우리나라가 들여온거죠.
그중 민스크가 중국이 사서 중국으로 보내진거고, 노보로시스크도 아마 해상태마파크인가? 그렇게 됬는데 화재가 나는 바람에 그것도 해체크리를 먹었습니다.

5. 케터펄트는 수입하기 힘듭니다. 엄연한 군사기밀이라.. 아마 프랑스가 독자개발한 걸로 압니다.
5. 랴오닝은 훈련함이 아닌 엄연한 주력항모입니다. 단순히 함재기탑재량이 적을 뿐..
1    
 
 
회사소개개인정보취급방침서비스이용약관운영정책상점서비스정책
주식회사 나이아드게임즈대표이사 이은지사업자등록번호 887-86-00551
주소 : 서울 마포구 토정로 35 4F (주)나이아드게임즈 (04083)
TEL:070-4232-6678FAX:02-6497-0049E-mail:navymaster@sdenternet.co.kr
 
에스디엔터넷 주식회사대표이사 김학용사업자등록번호 220-81-82828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정동 28-2 성진빌딩 6층 에스디엔터넷(주) (121-140)